원주 DB 프로미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0-21 시즌에 대한 내용은 원주 DB 프로미/2020-21 시즌 문서
원주 DB 프로미/2020-21 시즌번 문단을
원주 DB 프로미/2020-21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파일:DBpromy_whitebg.png [1]
원주 DB 프로미
Wonju DB Promy
창단 1996년 (28주년)
구단명 변천원주 나래 블루버드 (1997년 ~ 1999년)
원주 나래 해커스 (1999년)
원주 삼보 엑써스 (1999년 ~ 2002년)
원주 TG 엑써스 (2002년 ~ 2003년)
원주 TG삼보 엑써스 (2003년 ~ 2005년)
원주 동부 프로미 (2005년 ~ 2017년)
원주 DB 프로미 (2017년 ~ 현재)
연고지 파일:원주시 CI.svg 강원도 원주시 (1997년 ~ 현재)
모기업 파일:DB Insurance.jpg
구단주김정남
단장 권순철
감독이상범
주장공석
영구결번9, 32
구단 사무국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32 (대치동)
홈 경기장 원주치악체육관 (1997년 ~ 2013년)
원주종합체육관 (2013년 ~ 현재)
클럽하우스 DB프로미 연습체육관 내 숙소
키트 스폰서 파일:external/servicecenter.hummel.dk/hummel%20JPG.jpg
마스코트파일:DBmascot2017.png
약속대장(左) & 그린몬스터(右)
워드마크파일:동부화재 프로미 로고.png
홈페이지 파일:DBpromy_whitebg.pn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우승 기록
★★★
챔피언결정전 우승 (3회)
{{{#ccac00 2002-03, 2004-05, 2007-08}}}
정규시즌 우승 (5회)
2003-04, 2004-05, 2007-08, 2011-12, 2017-18
컵대회 우승 (0회)
정규시즌 1위 (1회)
2019-20[2]
플레이오프 진출
[ 펼치기 · 접기 ]
챔피언결정전
(9회 / 3승 6패)
1997, 2003-2004, 2003-04, 2004-05, 2007-08
2010-11, 2011-12, 2014-15, 2017-18
4강 플레이오프
(12회 / 9승 3패)
1997, 1998-99, 2002-03, 2003-04, 2004-05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4-15, 2017-18
6강 플레이오프
(10회 / 5승 5패)
1997, 1997-98, 1998-99, 1999-2000, 2002-03
2005-06, 2009-10, 2010-11, 2015-16, 2016-17
프랜차이즈 팀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승률.815
2011-12시즌 54경기 44승 10패
최저 승률.241
2013-14시즌 54경기 13승 41패
최다 승44승
2011-12시즌 54경기 44승 10패
최다 패41패
2013-14시즌 54경기 13승 41패
최고 FA 계약5년 12억 7천 5백만원[1]
2019-20시즌 김종규
[1] 첫 시즌 연봉

1. 개요
2. 역사
3. 세부 우승 기록
4. 역대 성적
5. 영구결번
6. 역대 감독
7. 역대 선수단 및 외국인 선수
8. 응원단
9. 유니폼
10. 사건사고
11. 흑역사
12. 이모저모
12.1.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평행이론
1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KBL의 프로농구단. 연고지는 강원도 원주시. 홈구장은 명륜동에 위치한 원주종합체육관이다. 강원 FC 창단 전까지는 춘천 우리은행 한새(현 아산 우리은행 위비)와 함께 강원도 지역의 단 둘 뿐인 프로 스포츠 팀이었다가, 춘천 우리은행 한새가 충남 아산시연고지 이전을 하면서 현재는 강원 FC와 원주 DB 프로미가 둘 뿐인 강원도의 프로 스포츠팀이자 강원도 연고의 유일한 실내 스포츠팀이 되었다. 강원 FC의 연고지도 명목상으로는 강원도 전체지만 애초에 강릉시의 뜨거운 축구 열기를 기반으로 탄생한 팀인데다 클럽하우스홈구장강릉시에 있어서[3] 영동 지방의 지지가 더 강하다. 때문에 원주 DB는 원주를 중심으로 한 영서 지방을 대표하는 팀이라고 할 수 있다.[4]

창단 이래 연고지를 바꾸지 않은 몇 안 되는 KBL 팀으로, 창원 LG 세이커스를 제외하면 거의 유일하다.[5] 게다가 홈 경기장과 선수단 클럽하우스가 연고지 내에 있는 4개 구단 중 하나라서, 다른 프로 스포츠에 비해 연고지 정착 의식이 옅은 KBL 10개 구단 중에서는 연고지 정착이 가장 모범적으로 된 구단으로 꼽힌다. 그래서 프로 원년 나래 시절부터 지금까지 강원도민들과 원주시민들의 압도적인 지지와 응원을 받고 있다.[6] 농구단에 대한 그룹 고위층의 지지도 굳건한데 TG삼보로부터 구단을 인수했던 강원도 출신의 김준기DB그룹 회장 역시 고향 강원도에 대한 애착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2005년 TG삼보 엑써스 농구단을 인수했을 때도 김 회장이 원주 연고지 잔류를 강력하게 주장할 정도였다고 한다.[8]

KBL 10개 구단 중 최고 승률과 최다 승수에서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002년 드래프트에서 김주성을 얻은 이후로 자밀 왓킨스, 로드 벤슨 등과 트윈 타워를 이뤄 막강한 수비력을 갖춘 명문 구단으로 군림하고 있다.

현재 모기업은 DB그룹DB손해보험이다. 그래서 마스코트 및 팀명도 DB손해보험의 보험 브랜드인 프로미. 참고로 구단명 때문에 오해가 있는데 모기업은 딱 한 번 바뀌었다. (TG삼보 → 동부-DB) 이전 구단 명인 나래[9] → 삼보 → TG → TG삼보는 모기업 계열사 및 명칭만 바뀐 것이며[10], 동부 → DB 역시 모기업 명칭만 바뀐 것이다.[11]

KBL 원년부터 현재까지 모기업과 팀 이름이 바뀌었지만 농구도시 원주라는 연고는 현재까지 불변이다.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주 DB 프로미/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세부 우승 기록[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4%><rowbgcolor=#001658> 년도 ||<-2><width=40%> 우승팀 ||<width=16%> 우승 횟수 ||
|| 1997 || 파일:LreU3kv.png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1회 ||
|| 1997-98 ||<|2> 파일:Taejon Hyundai Dynat Logo.png ||<|2> 대전 현대 다이냇 ||<|2>
2회 ||
|| 1998-99 ||
|| 1999-2000 || 파일:청주.jpg || 청주 SK 나이츠 ||
1회 ||
|| 2000-01 || 파일:수원 삼성 썬더스 로고.png || 수원 삼성 썬더스 ||
1회 ||
|| 2001-02 || 파일:GGgQoxv.png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1회 ||
|| 2002-03 || 파일:Wonju_DB_Promy_PBC_(2002).png || 원주 TG 엑써스 ||
1회 ||
|| 2003-04 ||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 || 전주 KCC 이지스 ||
3회 ||
|| 2004-05 || 파일:원주 TG삼보 엑써스 로고.png || 원주 TG삼보 엑써스 ||
2회 ||
|| 2005-06 ||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농구공 모양 로고.png || 서울 삼성 썬더스 ||
2회 ||
|| 2006-07 || 파일:vYTxzfw.png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2회 ||
|| 2007-08 || 파일:동부 프로미 로고.png || 원주 동부 프로미 ||
3회 ||
|| 2008-09 ||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 || 전주 KCC 이지스 ||
4회 ||
|| 2009-10 || 파일:vYTxzfw.png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3회 ||
|| 2010-11 ||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 || 전주 KCC 이지스 ||
5회 ||
|| 2011-12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1회 ||
|| 2012-13 ||<|3> 파일:vYTxzfw.png ||<|3> 울산 모비스 피버스 ||<|3>
6회 ||
|| 2013-14 ||
|| 2014-15 ||
|| 2015-16 || 파일: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엠블럼.svg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2회 ||
|| 2016-17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2회 ||
|| 2017-18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 서울 SK 나이츠 ||
2회 ||
|| 2018-19 || 파일:울산 현대 모비스 엠블럼.svg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7회 ||
|| 2020-21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3회 ||




KBL 정규리그 우승 팀
2002-20032003-2004, 2004-20052005-2006
대구 동양 오리온스원주 TG삼보 엑써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2006-20072007-20082008-2009
울산 모비스 피버스원주 동부 프로미울산 모비스 피버스
2010-20112011-20122012-2013
부산 kt 소닉붐원주 동부 프로미서울 SK 나이츠
2016-20172017-20182018-2019
안양 KGC인삼공사원주 DB 프로미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4. 역대 성적[편집]


챔피언 결정전 우승챔피언 결정전 준우승4강 플레이오프 진출6강 플레이오프 진출플레이오프 진출

통산 팀 성적
연도팀명순위전적승률플레이오프감독[12]
1997원주 나래
블루버드
3위13승 8패0.619챔피언 결정전 패
vs.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1승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안양 SBS 스타즈 (4승 1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인천 대우 제우스 (4승 2패)
최명룡
1997-984위26승 19패0.5786강 플레이오프 패
vs. 대구 동양 오리온스 (2승 3패)
최명룡
1998-994위27승 18패0.6004강 플레이오프 패
vs. 대전 현대 다이넷 (3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창원 LG 세이커스 (3승)
최명룡
1999-00원주 삼보
엑써스
4위22승 23패0.4896강 플레이오프 패
vs. 안양 SBS 스타즈 (1승 3패)
최종규
2000-017위19승 26패0.422-최종규
2001-029위18승 36패0.333-김동욱
2002-03원주 TG
엑써스
3위32승 22패0.593챔피언 결정전 우승
vs. 대구 동양 오리온스 (4승 2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창원 LG 세이커스 (3승 2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2승)
전창진
2003-04원주 TG삼보
엑써스
1위40승 14패0.741챔피언 결정전 패
vs. 전주 KCC 이지스 (3승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3승)
전창진
2004-051위36승 18패0.667챔피언 결정전 우승
vs. 전주 KCC 이지스 (4승 2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서울 삼성 썬더스 (3승)
전창진
2005-06원주 동부
프로미
3위31승 23패0.5746강 플레이오프 패
vs. 대구 오리온스 (1승 2패)
전창진
2006-078위23승 31패0.426-전창진
2007-081위38승 16패0.704챔피언 결정전 우승
vs. 서울 삼성 썬더스 (4승 1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안양 KT&G 카이츠 (3승 1패)
전창진
2008-092위33승 21패0.6114강 플레이오프 패
vs. 전주 KCC 이지스 (2승 3패)
전창진
2009-105위33승 21패0.6114강 플레이오프 패
vs. 울산 모비스 피버스 (1승 3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창원 LG 세이커스 (3승)
강동희
2010-114위31승 23패0.574챔피언 결정전 패
vs. 전주 KCC 이지스 (2승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부산 kt 소닉붐 (3승 1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창원 LG 세이커스 (3승)
강동희
2011-121위44승 10패0.815챔피언 결정전 패
vs. 안양 KGC인삼공사 (2승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울산 모비스 피버스 (3승 1패)
강동희
2012-137위20승 34패0.370-강동희
2013-1410위13승 41패0.241-이충희
2014-152위37승 17패0.685챔피언 결정전 패
vs. 울산 모비스 피버스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3승 2패)
김영만
2015-166위26승 28패0.4816강 플레이오프 패
vs.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3패)
김영만
2016-175위26승 28패0.4816강 플레이오프 패
vs. 울산 모비스 피버스 (3패)
김영만
2017-18원주 DB
프로미
1위37승 17패0.685챔피언 결정전 패
vs. 서울 SK 나이츠 (2승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안양 KGC인삼공사 (3승)
이상범
2018-198위24승 30패0.444-이상범
2019-201위[13]28승 15패0.651-[14]이상범
KBL 통산 24시즌677승 539패0.557챔피언 결정전 3회 우승
정규리그 5회 우승


5. 영구결번[편집]


원주 DB 프로미의 영구결번
번호이름포지션재직년도은퇴식년도
9허재슈팅 가드1998년-2004년2004년 4월 10일
32김주성파워 포워드, 센터2002년-2018년2018년 12월 25일



6. 역대 감독[편집]


역대이름재임 기간경력비고
1대최명룡1997년 ~ 1999년한국산업은행 선수-코치동양 오리온스 감독
2대최종규1999년 ~ 2001년대우 제우스 감독시즌 중 사임
3대김동욱2001년시즌 중 자진사퇴
4대전창진2001년 ~ 2009년삼성전자 선수-매니저
삼성 썬더스 코치
TG 삼보 엑서스 코치
TG 삼보 초대
2002-2003 KBL 플레이오프 우승 V1
2003-2004 KBL 정규리그 우승
2004-2005 KBL 통합우승 V2
동부 초대[15]
2007-2008 TG 삼보-동부 인수 이후 KBL 통합우승 V3
kt 소닉붐 감독 및 KCC 이지스 감독
5대강동희2009년 ~ 2013년기아자동차-기아 엔터프라이즈 선수
LG 세이커스 선수 및 수석코치
동부 프로미 수석코치
동부 인수 이후 첫 내부승진
동부 2대
2011-2012 KBL 정규리그 우승
시즌 중 불명예 사임
대행김영만2013년강동희 사임
6대이충희2013년 ~ 2014년현대전자 선수
고려대 및 동국대 감독
LG 세이커스 감독 및 오리온스 감독
시즌 중 자진사퇴
대행김영만2014년이충희 사퇴
7대김영만2014년 ~ 2017년기아자동차-기아 엔터프라이즈 선수
LG 세이커스 선수
KB 세이버스 코치-감독대행
동부 프로미 선수 및 수석코치
2년 연속 감독대행 포함 내부승진 및 동부 4대
동부-DB 출신 첫 감독
2014-2015 KBL 정규리그 2위 및 2014-2015 KBL 플레이오프 준우승
LG 세이커스 수석코치
8대이상범2017년 ~ 현재SBS 스타즈 선수 및 코치
KT&G 카이츠 수석코치-감독대행-감독
KGC 인삼공사 감독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대표팀 코치
모기업 명칭 변경 이후 DB 5대
2017-2018 KBL 정규리그 우승


7. 역대 선수단 및 외국인 선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주 DB 프로미/선수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흰색).svg원주 DB 프로미
2023-24 시즌 선수단
||
[ 펼치기 · 접기 ]

감독김주성
코치
수석 코치
한상민 ·
D 리그 코치
이광재 ·
코치
밥 쏜튼 ·
체력 코치
윤준
스태프
스카우트
박제용 ·
통역
김태형 ·
트레이너
이진우 · 김민혁 ·
매니저
허윤성
가드1 박찬희 · 2 이용우 · 3 유현준 · 5 박승재 · 6 이민석 · 7 김현호 · 12 김영현 · 17 알바노 · 30 두경민 · 34 이준희 · 77 최승욱
포워드0 김형준 · 10 김훈 · 11 인승찬 · 13 로슨 · 23 박인웅 · 25 최승빈 · 26 강상재
C
· 35 서민수
센터15 김종규 · 22 서현석 · 31 이윤수 · 55 위디
군 입대
2023년 입대
정호영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8. 응원단[편집]


2020-21 시즌 원주 DB 프로미 응원단
응원단장 박민수
장내 아나운서 유창근
치어리더(그린엔젤스) 김도희, 손현미, 우수한, 원민주, 유세리, 이서연, 정다혜, 차영현, 최석화, 하지원


9. 유니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주 DB 프로미/유니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사건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주 DB 프로미/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흑역사[편집]


구단 역대 최악의 용병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선수. 2001-02 시즌 중반 폐기물급 용병이었던 맨트를 대신해 들어온 중아공 출신의 명목상 정통 센터였으나, 리바운드와 슈팅은 고사하고 이지슛도 제대로 못넣고 수비조차도 식물 그 자체의 모습을 보여주며, 후반기에는 정경호에게도 밀릴 정도로 실력이 형편없었다. 이 용병을 쓰던 삼보는 당시까지 모비스와 함께 18승 36패 최악의 성적인 9위를 내며 제대로 망했다. 그러나 모비스와 상대 전적 우위로 최종 성적은 9위. 시즌 종료 후 은공바는 방출 후 아예 농구를 그만둔 것으로 전해진다.[16]

일명 '양토토 사건'의 장본인. 2004~05년경부터 양경민이 선수 신분임에도 스포츠 복권의 일종인 토토를 구매하고 있다는[17] 의혹이 제기되었다가, 2006년경 이게 사실로 밝혀지면서 물의를 빚었다. 자신의 팬클럽 회장에게 자신이 출전하는 경기인 2004-05 시즌 프로농구 4강 플레이오프 2차전의 토토를 대리 구매하도록 했던 것. 나중에 팬클럽 회장이 이를 메모한 종이를 증거물로 내놓아 승부조작 혐의로 기소되었고 양경민 선수는 벌금 100만원의 유죄가 확정되었다. 그리고 KBL로부터는 36경기 출전정지라는 중징계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농구의 인기가 시들했던 탓인지 언론에서 크게 사건을 비추지 않았고, KBL에서도 강력 대처를 하는 척만 하다가 슬금슬금 징계를 풀어버렸다. 여러 사건으로 승부조작에 민감해진 2010년 이후 같았으면 즉시 퇴출+영구제명되었을 것이다. 이후 양경민은 코트에 복귀하긴 했지만 전성기만큼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2008년경 조용히 은퇴. 스카우터로 새출발하나 싶었지만 이내 모습을 감추었다. 그리고 원주에서 클럽 웨이터를 한다는 소문이 돌더니, 2013년 9월 상습절도 혐의로 구속되면서 몰락했다. 상관없는 일이긴 하지만, 사촌인 양동근도 농구선수였다. 집안도 농구 집안인데 제대로 먹칠 또, V-리그에도 최귀동[18]이라는 비슷한 케이스가 있다.

2013년 프로농구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 승부조작 사건 중에서는 최초로 현역 감독이 연루된 사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 이 사건으로 트리오의 한 축이었던 레전드는 한낱 조작범으로 전락했으며, 질식 수비를 앞세워 KBL 연승 신기록 및 8할 승률을 달성한[19] 명장은 팬들의 뒤통수에 칼빵을 꽂은 사기꾼이 되어버렸다. 그리고 동부는 조작구단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선수로서는 최고의 슈터였지만, 오리온스의 흑역사이기도 했던 시절(12승 42패의 성적으로 시즌 도중 사퇴)과 마찬가지로 동부의 감독으로서 전술부재나 선수단 관리등의 문제에서 부족함을 드러내며 한시즌 12연패 2번이라는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고 말았다. 오리온스 시절때처럼 어째 개막 초반 연승한 것과 이후에 2번의 10연패 이상 빠진 것까지 똑같다 덕분에 시즌 중후반에 자진사퇴하였고, 이 시기 원주 동부는 창단 첫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하고 말았다.

이충희 감독 시절 2013-14 시즌 전체 1순위로 뽑은 용병. 그동안 한국에서의 모습을 생각하면 충분히 납득이 가는 1픽이고 김주성과의 호흡도 기대되었으나, 시즌이 흘러갈수록 태업설과 동료 외국인 키스 랜들맨을 따돌림시켰다는 설이 나오면서 평판이 급격히 나빠졌다. 선수 본인이 수도권 구단을 선호했다는건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었기에 사전에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뽑은 구단도 어느 정도 책임은 있다고 볼 수 있겠지만.. 결국 부상으로 잠시 일시 교체되었다가 돌아오고나서 서울 삼성 썬더스의 센터 마이클 더니건과 1대1 맞트레이드되며 불명예스럽게 팀을 떠났다.

스포츠 도박 건에 연루되어 영구제명. 충격적인 건 안재욱이 강동희 전 감독의 직속제자였다. 제2의 강동희였는데 끝내 스승과 함께 암흑의 농구인.


12. 이모저모[편집]













파일:박슬기 시투장면.jpg


12.1.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평행이론[편집]


K리그 전북 현대 모터스와는 여러가지 평행이론을 가지고 있다.



13. 둘러보기[편집]


파일:DB그룹 로고.svg



[1] 흰색 유니폼에 쓰는 로고이며, 녹색 유니폼에 쓰는 로고는
파일:DBpromy_greenbg.png
이렇게 생겼다.
[2] 코로나-19로 인한 시즌 조기 종료로 서울 SK 나이츠와 함께 공동 1위를 기록. 우승으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DB 구단의 연고지인 원주시에서 KBL에 상대전적이 앞서 단독 1위로 인정해야 되지 않느냐고 이의제기를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 강원 FC는 2016년까지 강릉 홈경기를 중점으로 두다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으로 인해 강릉종합운동장이 보안 시설물로 지정되면서 2017 시즌을 평창알펜시아경기장에서 하다가 스플릿 시즌 이후부터는 춘천에서 경기를 한다. 2020시즌 부터는 강릉종합운동장춘천 송암 스포츠타운에서 나눠가며 하지만 강릉으로의 복귀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4] 1997년 프로 출범 당시 강원도에는 프로 스포츠단이 없었다. 그보다 10년 전인 1987~1989년까지 현대 호랑이 축구단이 있었지만 1990년 경남 울산시로 연고지 이전을 했다. 프로야구는 인천광역시 연고팀의 서브 연고권으로 강원도가 포함되기는 했지만 강원도 자체가 야구 불모지였기에 강원도에 대한 관심은 턱없이 부족했으며 프로야구 1군 경기도 1988년을 끝으로 강원도에서 더이상 열리지 않았다. 신생 농구단을 창단하려던 나래이동통신이 그럼에도 원주를 농구단의 연고지로 선택한 이유는 수도권에서 그럭저럭 가까운 강원도의 도시인데다 인구도 강원도 내에서 가장 많았기 때문에 선정한 것으로 보인다.[5] 안양 KGC인천 전자랜드는 각각 2000년, 2006년까지 연고지 내에 홈구장이 없어서 타 지역에서 경기를 한 역사가 있다. 창원 LG도 KBL 참가 첫 시즌에는 경상남도 전체를 연고로 하고 있어서 순회 경기를 하다가 1998-99 시즌부터 창원에 정착하였다.[6] 연고지 정착이 잘 된 구단답게 팬들의 충성도가 워낙 뛰어나다는 점은 다른 팀의 부러움을 사는 부분이다. 그러나 일부 팬덤이 워낙 충성스럽다 못해 지나치게 강성이어서(...) 후술하는 사건사고를 일으키는 등 논란이 되기도 했다.[7] 다만 김준기 전 회장이 불명예스러운 일로 그룹 경영에서 물러나면서 농구단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덜해지게 됐다. 현재 DB그룹 회장인 김 전 회장의 장남 김남호는 서울특별시 출신이다.[8] TG삼보 농구단이 매각될 당시 이미 KBL에서는 연고지를 옮긴 팀이 5개(청주 SK→서울 SK, 수원 삼성→서울 삼성, 부산 기아→울산 모비스, 대전 현대→전주 KCC, 여수 코리아텐더→부산 KTF)나 될 정도였고 특히 KCC나 모비스의 경우 구단의 운영주체가 바뀌는 과정에서 연고지까지 함께 바뀌었다. 그래서 원주 팬들 사이에서는 "강원도와 무관한 기업이 농구단을 인수하면 수도권 대도시로 도망가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이 컸고 원주 연고 농구단 존치 범시민 서명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9] 나래에서 삼보로 바뀐 것을 흔히 모기업 변경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첫 모기업인 나래이동통신은 TG삼보의 자회사였다.[10] 팀명 또한 나래 → 삼보로 모기업 계열사 변경 당시 '블루버드'에서 '엑써스'로 바뀐 것이 전부다.[11] 따라서 팀명 역시 삼보 시절과 같이 '프로미'라는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12] 시즌 개막 기준.[13] 순위는 1위지만 우승은 인정되지 않는다.[14] 플레이오프 미개최[15] 구단 홈페이지는 전신팀 역사 제외. TG 삼보 시절 우승부터 인수.[16] 심지어 인터뷰에서조차 농구에 관한 얘기는 뒷전이고 조국의 대통령이 되는 것이 꿈이라는 포부를 밝힌 적이 있었다(...).[17] 선수나 감독의 경우 경기 내에서 고의적으로 배당금이 많이 걸린 쪽으로 경기를 조작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토토를 구매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특히 선수 개인의 플레이 하나하나가 경기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농구에서는 조작이 일어나기 쉬운 편이다.[18] 프로배구 승부조작 사건으로 제명되고는 이후에 협박 혐의로 구속되었다. 또 친동생인 최귀엽은 현재 현역이다. 대신 커리어가 양동근에 비하면 안습하다[19] 정작 그해 결승전에서 인삼공사에게 졌다.[20] 뭐, 해커스라는 이름 자체를 기억하는 이가 그리 많지가 않다. 참고로 노란색은 한국산업은행 시절의 주 유니폼 색상이었다.[21] 실제로 치악체육관을 썼던 시절부터 홈경기를 가보면 알겠지만 교복입은 소녀팬 무리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며, 원주 소재 여학교인 원주여고, 북원여고, 상지여고 등을 수시로 방문하여 마케팅을 늘린 효과도 작용했다.[22] 사실 강원도 지역이 전반적으로 보수적 성향이 짙은 편이기도 하나 연고지인 원주는 춘천과 함께 외지인의 유입 등으로 보수적 성향이 그나마 다른 강원도 지역에 비하면 약한 편이다. 물론 원주 말고도 DB 주요 팬층이 강원도 전역에 걸쳐 있는 만큼 보수적 성향도 무시할 수준은 아니다.[23] 이 트레이드는 결과적으로 정훈이 KCC에서도 자리를 잡지 못하고 붕 떠버린 반면 표명일은 생애 처음으로 주전 1번 자리를 꿰참과 동시에 우승을 거머쥐는 데에 큰 역할을 하면서 동부의 완승으로 끝났다. 이 트레이드에 대한 비난이 있을 수가 없는 이유. 여담으로 이 트레이드 당시 선수 시절의 김영만 감독(現 창원 LG 수석코치)도 KCC로 함께 옮겨가면서 말년을 보냈던 적이 있다.[24] 일례로 부산 kt의 숙소와 연습 체육관은 부산이 아니라 수원에 있고,(사실 2006년 사직으로 홈 경기장을 옮겼을 때 부산에 클럽하우스를 뒀다가 2010년에 수원으로 가게 되었다.) KCC용인, LG이천에 있다. 오리온스대구 연고 시절에는 숙소가 용인시에 있었으나 고양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고양시 내 아파트를 빌려 숙소로 사용하고 있다. 울산 현대모비스는 용인시와 연고지인 울산 두 곳에 숙소가 있지만, 실질적인 클럽하우스는 용인시에 있다.[25] 중계화면을 보면 부산 kt 소닉붐도 해군부대(해군작전사령부), 공군부대(제5공중기동비행단)를 대상으로 비슷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듯하다.[26] 2003-04 시즌 KCC 우승, 2004-05 시즌 TG삼보 우승[27] 2019년 부터는 허웅허훈의 형제 대결도 성립된다.[28] 다만 2006-07 시즌에는 상대전적 전패를 기록했다.[29] 다만 강동희의 경우 DB 뿐만 아니라 10개 구단 전체 금지어이고, 염기훈의 경우 전북과 울산 한정으로 금지어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9:22:15에 나무위키 원주 DB 프로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